반응형
쿠버네티스 파드 로그 저장소를 보통 엘라스틱서치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다루기 어렵고 높은 사양을 요구해서 가볍게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Loki를 대체로 사용합니다.
불편한 점 첫번째 - 그라파나 제한된 기능
Loki의 Loki대시보드를 그라파나로 사용할 경우 권한분리 기능이 유로입니다. Edit권한이 있는 계정이 있어야 그라파나에서 파드 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불편한 점 두번째 - Loki API
제가 참여한 팀은 그라파나 유료기능을 사용하지 않아 자체 API기능을 만들기로 했고 그 개발을 제가 일부 맡았습니다. Loki API로 순탄하게 진행될거라 생각했지만!!! Loki API응답에서 400 또는 500에러가 가끔씩 발생했습니다.
열심히 디버깅을 해보니 놀랍게도... retention설정으로 삭제된 데이터를 조회할 경우 400 또는 500에러를 뱉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유효하지않은 timerange를 조회할 떄 에러를 뱉는 것 같습니다. 보통 데이터가 없으면 API는 성공하고 빈 데이터를 리턴하는 편인데... Loki는 조금 특별나게 에러를 뱉내요!
반응형
'회고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컬 docker build&push 파이프라인 개선 (0) | 2022.12.26 |
---|---|
무한루프 걸리는 쿠버네티스 job 디버깅 과정 (0) | 2022.07.12 |
6월 4주차 회고 (0) | 2022.06.26 |
6월 3주차 회고 (0) | 2022.06.19 |
빌드/배포 시스템 VS CI/CD 시스템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