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시다님 스터디에서 컨테이너 원리를 다루는 기회가 생겨, kubernetes resources.requet.cpu와 limit.cpu를 공부했습니다.
request.cpu는 cgroup weight(v1에서는 cpu share)로 변경되어, 컨테이너가 cpu시간을 상대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limit.cpu는 컨테이너의 cpu시간을 제한한는 설정입니다.
공부를 마치고 문득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request.cpu가 cpu시간을 가중치로 사용하면 limit은 설정안해도 될까?" 고민을 많이하고 제 나름대로 결론을 냈습니다. limit을 설정하는 이유는 운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결론을 냈습니다. 그리고 이권수님과 팟캐스트에 이 주제로 이야기해보니 모니터링 대시보드에서 일부 limit기준으로 수치계산하는게 있다고 하네요.
반응형
'전공영역 공부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shicorp vault 소개 (0) | 2024.10.11 |
---|---|
쿠버네티스 statefulset OnDelete 전략 (6) | 2024.10.10 |
아키텍처 이야기 - 애플리케이션 개수를 증가시키면 요청 처리속도가 빨라질까? (1) | 2024.10.06 |
리눅스 컨테이너는 cpu 자원이 어떻게 제어될까? (0) | 2024.09.22 |
맥북 Linux VM에서 perf사용 방법 (0) | 202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