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설날에 ReactJS를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ReactJS 동작원리가 쿠버네티스 controller manager와 매우 비슷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ReactJS는 가상 DOM을 사용하여 HTML을 수정합니다. 사용자가 작성한 JSX파일은 가상 DOM으로 렌더링되는데, 새로 생성된 가상 DOM이 최종 HTML에 적용되는 것을 기대합니다. 마치 쿠버네티스 controller manager가 의도된 상태를 적용하는 원리와 매우 비슷합니다. 결국, 사용자가 작성한 개 발코드는 쿠버네티스에 비유하면 desired state가 됩니다.
제가 생각한 이론이 맞는지 ChatGPT를 활용했습니다. 아래 그림은 ChatGPT에게 여러 질문들을 해보고 비교한 결과입니다.

반응형
'전공영역 공부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stJS HttpHealthIndicator를 사용하다가 만난 오류 (2) | 2025.02.04 |
---|---|
Nestjs Liveness, Readiness 설정 전략 (0) | 2025.02.02 |
ReactJS에 Tailwind CSS v4.0 적용하는 방법 (0) | 2025.01.30 |
EKS Pod 운영비용: 비용 절약과 안정성 사이의 현실적인 선택 (0) | 2025.01.14 |
쿠버네티스 노드 헬스체크 원리(lease API) (1)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