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19

도커이미지레이어 4편 - 빌드과정에서 일어나는 일

목차 1편 도커 이미지 레이어 구조: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13 2편 Dockerfile과 이미지 레이어 관계: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34 3편 빌드캐시: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36 4편 빌드과정에서 일어나는 일: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22 안녕하세요. 4편에서는 docker build명령어를 실행하면 어떤 과정으로 도커 이미지가 생성되는지 설명합니다. 이 글은 영상으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KpMoOkxxzGw 1. 빌드과정 docker build과정은 공식문서[1]에 간단히 설명합니다. 요약하..

연재 시리즈 2021.12.08

axios의 위험성

스터디를 진행하던 중 프론트와 백엔드 연동에서 axios라이브러리의 위험성을 많이 느꼈다. 크롬 등 웹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해주는 것이 많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당연히 될 거라고 생각한 것들이 axios다른 방식으로 해주는 것들이 있었다. 기억에 남는 것은 2가지 사례가 있었다. 1. axios content-type에 맞는 사용방법 axios 공식문서: https://github.com/axios/axios#using-applicationx-www-form-urlencoded-format axios에서 form-data를 사용할 때 공식문서 가이드에 맞게 사용해야한다. const axios = require('axios'); let params = new URLSearchParams() params.ap..

일상생활 2021.12.07

도커이미지레이어 1편 - 이미지 레이어

목차 1편 도커 이미지 레이어 구조: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13 2편 Dockerfile과 이미지 레이어 관계: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34 3편 빌드캐시: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36 4편 빌드과정에서 일어나는 일: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22 1편에서는 도커 이미지 레이어를 설명합니다. 이 글은 영상으로도 만나 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StsgkD71028 1. 준비 Dockerfile을 한번이라도 써봤다는 전제로 글을 설명합니다. 2. 레이어란? 도커 이미지는 레이어(layer)와 메타정보로 구성되어 있습..

연재 시리즈 2021.11.30

스프링시큐리티 5편 스프링시큐리티 설정 오버라이드

1편 스프링시큐리티 구조와 프로젝트 생성: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143 2편 스프링시큐리티가 어떻게 세션을 이용할까? :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179 3편 컨트롤러에서 인증정보 조회: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180 4편 인메모리 사용자: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176 5편 설정 오버라이드: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10 안녕하세요. 5편에서는 스프링시큐리티 설정 오버라이드를 다룹니다. 영상: https://youtu.be/7rPWHmxC-8M 1. 설정 오버라이드란? default설정이 아닌 스프링..

vsphere 네트워크 디자인

안녕하세요. 이 글은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부했던 vsphere 설정을 정리했습니다. 저의 업무에서는 vsphere를 다루지 않으므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것만 공부했습니다. 목차 NPT설정: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06 네트워크 기초 메뉴얼: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05 네트워크 디자인: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07 1. 네트워크 디자인 요구조건 외부와 통신이 되야합니다. 외부에서는 내부 IP에 접근하지 못합니다. VM은 라우터의 관리를 받습니다. 2. 환경 제약사항 80번포트를 사용하지 못하여 외부 프록시를 이용하여 80번 포트를 바라보게 사용했습니다. 환경문제로 도메인 ..

vsphere 공부 - NTP 설정

안녕하세요. 이 글은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부했던 vsphere 설정을 정리했습니다. 저의 업무에서는 vsphere를 다루지 않으므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것만 공부했습니다. 목차 NPT설정: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06 네트워크 기초 메뉴얼: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05 네트워크 디자인: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207 1. NTP란? NTP(Network Time Protocol)은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 개발, 운영에 있어서 모든 호스트의 시간 동기화는 매우 중요합니다. 같은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데 시간이 안맞다면 원하는 서비스가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