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raform 51

테라폼 시리즈 3편. 테라폼 설치

테라폼 설치는 간단합니다. 테라폼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공식문서에(https://learn.hashicorp.com/tutorials/terraform/install-cli) 리눅스, 윈도우, 맥 운영체제에 테라폼 바이너리가를 설치하는 방법을 친절히 설명합니다. 저는 MAC을 사용하고 있어 homebrew로 설치 했습니다. brew tap hashicorp/tap brew install hashicorp/tap/terraform 테라폼 바이너리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면 terraform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테라폼 바이너리 버전을 출력합니다 terraform --version

연재 시리즈 2022.10.19

테라폼 시리즈 2편. 테라폼 공부를 시작할때, 알면 좋은 용어

안녕하세요. 이 글은 테라폼스터디 1주차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용어 테라폼을 사용할 때 가장 당황스러운 것 중 하나가 익숙하지 않은 단어였는데요. 그래서 알면 좋을 용어 몇가지를 정리했습니다. 1.1 Provider 코드를 인프라로 변경해주는 모듈을 Provider이라고 합니다. 테라폼은 AWS Provider 등 매우 많은 Provider을 제공합니다. 각 Provider은 대상의 API를 이용하여 코드를 인프라로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AWS Provider은 AWS API를 이용하여 코드를 인프라로 반영합니다. 1.2 Provisioning Provider가 코드를 인프라로 반영되는 과정을 provisioning라고 합니다. 1.3 HCL과 tf파일 테라폼이 작업할 코드는 HCL라는 언어로 작..

연재 시리즈 2022.10.19

테라폼 시리즈 1편. IAC 정의와 테라폼

안녕하세요. 이 글은 테라폼스터디 1주차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IAC란? 테라폼은 IAC도구입니다. 그러므로 IAC가 무엇인지 이해하는게 중요합니다. IAC(Infrastructure as Code, IaC)는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한다는 말이 무엇일까요? 사용자는 생성/수정/삭제하고 싶은 인프라 자원을 코드로 작성합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IAC도구를 실행하면, IAC도구가 코드를 해석해석 인프라 자원을 반영시킵니다. 그렇다면 코드로 어떻게 인프라를 생성/수정/삭제 작업을 할 수 있을까요? 정답은 인프라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코드관리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할 수 없고 코드관리기능을 지원하는 환경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가상머..

연재 시리즈 2022.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