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18

EKS IPv6 생성방법

https://youtu.be/y6_NIvQ7hmA?si=GyCXBii-_Q6qhuH0 1. EKS IPv6란? EKS IPv6는 pod와 service가 모두 IPv6로 실행됩니다. 2. 언제 EKS IPv6를 사용하면 좋을까? 사설 IPv4대역이 고갈되었을 때 사용하면 매우 좋습니다. 고갈이라는 의미는 EKS가 사용하는 VPC 사설 CIDR이 회사 내에 모두 사용되고 있어, 더이상 VPC CIDR를 생성할 수 없을 때 입니다. VPC CIDR이 고갈되는 경우는 여러 VPC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고갈됩니다. 3. 제약사항 EKS IPv6노드는 Nitro를 지원하는 EC2인스턴스 타입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security group for pod 기능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그 이외 제약사항..

IPv6 소켓 프로그래밍

https://youtu.be/iw9dQUhV9rE?si=8z6Hb_JT34ux2De0 IPv6 전환 시 코드에서 가장 고민해야할 내용은 소켓 프로그래밍입니다. IPv4 소켓을 사용하면 IPv4통신은 가능하지만 IPv6통신은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0.0.0.0 주소를 사용하는데, 이 주소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IPv4 소켓을 운영체제에 bind합니다. 그러므로 IPv6주소로 서버를 호출하면, 서버를 연결할 수 없다는 오류 메세지를 만납니다. 서버는 IPv4소켓을 사용하므로 IPv6 요청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IPv6소켓을 사용하려면 소켓타입을 IPv6로 사용하고 bind주소를 "::"를 사용해야 합니다.

10년 후에 데브옵스 직무가 필요할까?

10년 뒤면 AI발전 등으로 인해 개발자가 많이 줄거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대로 빗대어 데브옵스라는 직무는 10년 뒤에 존재할까라는 고민을 해봤습니다. 음.. 개인적으로는 데브옵스 직무는 없어질 것 같습니다. AI발전 영향보다는 "개발자의 상향 평준화"때문에 데브옵스 직무가 사라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얕은 생각일 수 있지만, 데브옵스 직무가 나온 배경은 당시 개발기술과 운영기술의 격차가 벌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몇 개 기업을 제외하고는 운영기술 발전속도보다 개발기술 속도가 빨랐고 이 격차를 줄이기 위해 데브옵스라는 직무가 생겼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클라우드, IaC, CI/CD 등 운영기술이 많이 발전하였고 개발자도 상향 평준화 되었기 때문에 개발자가 이미 데브옵스를 하고 있습니다. 물리..

회고모음 2024.03.15

karpenter 0.2x -> 0.3x 버전 업그레이드 주의사항

karpenter 0.2x -> 0.3x버전 업그레이드시, 버전이 0.33버전 이상이라면 0.32버전을 한번 거쳐서 업그레이드 하셔야 합니다. 0.33버전부터는 provisioner CRD를 지원하지 않아 provisioner로 생성된 노드가 종료될 수 있고 서비스 장애로 이어집니다. 0.33이상 부터는 Nodepool, Nodeclass를 사용합니다. 0.2x -> 0.32 업그레이드 과정은 아래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0.32로 karpenter를 업그레이드 합니다. provisioner설정을 Nodepool, Nodeclass 설정에 맞게 설정을 옮깁니다. 그리고 Nodepool, Nodeclass를 배포합니다. Nodepool, Nodeclass와 provisioner가 동시에 실행되야 합니다. p..

IPv6를 도입하기 위해 확인해야 할 기술

1. IPv6를 도입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기술 1.1. 네트워크 환경 IPv6를 도입하면 제일 먼저 확인해야하는 것은, 내가 속한 네트워크 환경이 IPv6를 지원하는지 입니다.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는 IPv6기능이 있는 네트워크 장비가 있어야 하고 AWS환경에서는 VPC가 지원이 가능해야 합니다. AWS VPC는 IPv6를 지원합니다. 1.2. 운영체제 운영체제가 IPv6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DHCP64, DNS64 등 IPv6기반 프로토콜도 처리가 가능해야 합니다. AWS에서 관리하는 아마존리눅스는 IPv6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1.3. 애플리케이션 현재 배포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IPv6를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네트워크와 운영체제가 IPv6를 지원하더라도, ..

Datadog은 비용빼고 매우 좋은 도구

2024년 1월에 올라온 "스타트업에서 4년간 인프라를 운영하며 좋았던/후회하는 (거의) 모든 인프라 결정들"을 읽고 눈에 띄는 키워드가 몇개 있었습니다. 그 중 Datadog를 도입해서 후회라는 글에 대해 생각에 잠겼습니다. 이직을 하고 처음 Datadog를 접하고 약 7개월 정도 사용해봤었습니다. 긴 시간은 아니지만 아직까지 Datadog을 대체할 Saas모니터링 도구는 없다고 느꼈습니다. 아마존 Managed Prometheus, 와탭 등 많은 오픈 소스가 있지만 Datadog가 진입장벽이 낮고 품질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여기서 품질은 1년 데이터도 1~3초안에 조회되는 것을 말합니다. Managed Prometheus나 와탭은 1년 데이터를 조회하면 30초 이상 걸립니다. 그리고 RUM, AP..

회고모음 202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