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81

kubernetes 1.33 알파기능 - kuberc

kuberc란?쿠버네티스 1.33에서 kuberc기능이 알파로 추가되었습니다. kuberc는 bashrc처럼 kubectl설정을 하는 파일입니다. kuberc를 사용하려면 환경변수 KUBECTL_KUBERC를 true로 설정해야 합니다. kuberc 디폴트 파일위치는 ~/.kube/kuberc입니다.예시 1번overrides설정은 kubectl명령어를 실행할 때 오버라이딩합니다. 아래 예시는 kubectl delete명령어를 사용할 때 대화형으로 yes/no를 강제로 선택하게 합니다.apiVersion: kubectl.config.k8s.io/v1alpha1kind: Preferenceoverrides:- command: delete flags: - name: interactive default..

AWS 최신 자료를 볼때 영어문서를 봐야 하는 이유

최신 뉴스는 영어 문서를 봐야 하는 이유AWS 업데이트 내역, 신규 기능 등 최신 자료를 볼 때는 영어자료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영어 문서가 먼저 업데이트 되고 며칠 지나서 한국 문서가 업데이트되기 때문입니다.예제 1: EKS 신규 버전 출시 날짜2025.5.29기준 EKS 1.33 버전 출시 확정날짜는 한국문서에는 없고 영어 문서에 있습니다.예제 2: 애드온 버전2025.5.29기준 EKS 애드온 버전 설명에서 한국문서는 1.32가 마지막이고 영어문서는 1.33이 마지막입니다.

쿠버네티스 cgroup과 request.cpu, limit.cpu 관계를 잘 설명한 글

안녕하세요. 이 글은 빅토리아메트릭 기술블로그에서 좋은 글이 있어 소개드립니다. kubernetes의 request.cpu, limit.cpu를 설정이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원리, 수식, 시각화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링크: https://victoriametrics.com/blog/kubernetes-cpu-go-gomaxprocs/이전 저의 블로그에도 다뤘지만 resource request/limit cpu는 코어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cpu시간을 사용하겠다는 개념입니다.이전 블로그 글: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773 cpu 경합이 발생할 때 request.cpu에 설정한 값을 보장해준다는 뜻입니다. cpu 경합이 없으면 설정한 값보다 더 사용할 ..

github copilot 프롬프트를 파일로 작성해서 실행하는 방법(prompt files)

prompt files이란?프롬프트 파일(prompt files)는 github copilot 프롬프트를 마크다운 파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2025년 4월에 실험모드로 공개되었습니다. 사용방법".prompt.md"로 끝나는 파일을 작성하고 property(프롬프트 속성)과 프롬프트를 작성하면 됩니다.$ vi quickstart.prompt.md# property 정의 ---mode: ask/edit/agent 중 선택tools: agent가 사용하는 도구 선택description: 프롬프트 설명---{프롬프트 정의} 프롬프트 파일은 채팅창에서 "/"로 실행하거나 IDE 실행버튼으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goployer 도구의 quickstart코드를 github copilot..

모니터링 방법론 RED method와 USE method

안녕하세요. 이 글은 모니터 방법론 중에 USE method와 RED method를 설명합니다. USE methodUSE method는 아래 3가지 메트릭의 첫글자를 종합한 단어입니다. CPU, Memory, 네트워크 등과 같은 시스템 자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합니다.Utilization(이용률 또는 사용률): 자원을 얼마나 사용했는지 백분율로 표시Saturation(포화도): 자원이 할일의 양이 얼마나 쌓여있는지Errors(에러): 자원과 관련된 문제: 디스크 읽기 오류, 네트워크 전송 오류 등쿠버네티스 입장에서는 pod, node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률 등에 해당합니다.USE method의 단점USE method는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하다보니 서비스 입장에서 모니터링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

GPU EKS optimized AMI를 사용하면 좋은 점

EKS GPU optimized AMIEKS에서 gpu 노드를 사용할 때, GPU optimized AMI를 사용하면 편리한 점이 있습니다. GPU optimized AMI에는 GPU 벤더사(예: NVIDIA)에 필요한 GPU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예로 nvidia GPU optimized AMI를 사용한 EKS 노드에서는 nvidia GPU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nvidia-smi명령어를 별다른 설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nvidia-smi 그리고 쿠버네티스에 pod에서 gpu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nvidia-container-toolkit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amazon linuxrpm -qa | grep nvidia-container 아쉽지만 쿠버네티스 G..

EKS 업데이트 뉴스: 커뮤니티 애드온 카탈로그 도입

업데이트 뉴스2025.3.31에 EKS 커뮤니티 애드온 카탈로그를 발표했습니다. 이 카탈로그에는 metrics-server, external-dns 등이 포함됩니다. 저는 metrics server를 helm chart에서 애드온으로 변경했습니다.뉴스링크: https://aws.amazon.com/ko/about-aws/whats-new/2025/03/amazon-eks-new-catalog-community-add-ons/ EKS 애드온 장/단점EKS 애드온으로 관리하면 EKS 버전 호환성이 보장이 됩니다. 따라서 helm chart로 설치했던 애드온 버전이 맞는지 확인과정이 없어집니다. 하지만 단점은 사용자 정의 설정이 제한되기 됩니다. metrics server는 사용자 정의 설정이 크게 필요하지 ..

쿠버네티스에 설정한 probe가 어떻게 실행되는지 알아야하는 이유

쿠버네티스에 설정한 probe가 어떻게 실행되는지 알아야하는 이유쿠버네티스 pod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확인하기 위해 probe설정을 합니다. probe는 설정된 값으로 pod를 주기적으로 헬스체크합니다. 그런데, 헬스체크가 실패한다면 pod에 문제 있어서 실패한걸까요? pod는 정상이지만 헬스체크가 실패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마주칠때 pod에 설정된 헬스체크 원리를 모른다면 원인을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pod는 정상이지만 헬스체크가 실패한 사례쿠버네티스는와 pod 정상이지만 pod헬스체크가 실패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쿠버네티스가 정상이라는 말은 api-service, etcd 등 control plane이 정상이라는 뜻이고 pod가 정상이라는 말은 pod 메트릭이 ..

AWS Certified AI Practitioner (AIF-C01) 취득

2025.4.26(토) AWS AIF-C01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AIF는 AWS AI 기초 자격증으로 AI/ML 기초지식과 관련된 AI 서비스에 대해 질문합니다. 합격여부는 24시간 뒤에 이메일로 왔습니다. 목표자격증 취득의 목표는 AWS bedrock, Amazon Q, sagemaker를 공부하는게 목표였습니다. 하지만, 시험을 보기 전 한번도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변명이라면 예상하지 못한 많은 야근이 ㅜ.ㅜ 시험 공부 방법출퇴근시간에 지하철에서 udemy강의를 봤습니다. 총 6시간 정도 봤고 57%정도 봤습니다. 시험에서 물어보는 것AI/ML의 차이AI/ML 모델 훈련 방법: Supervised LearningDomain AdaptationFine Tuning Continuedpre-Train..

회고모음 2025.04.29